코딩테스트/2020 블라인드 코딩 테스트

[2020 KAKAO BLIND RECRUITMENT][1차] 자물쇠와 열쇠 for JAVA

냠냠:) 2020. 4. 2. 20:59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고고학자인 튜브는 고대 유적지에서 보물과 유적이 가득할 것으로 추정되는 비밀의 문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을 열려고 살펴보니 특이한 형태의 자물쇠로 잠겨 있었고 문 앞에는 특이한 형태의 열쇠와 함께 자물쇠를 푸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해 주는 종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잠겨있는 자물쇠는 격자 한 칸의 크기가 1 x 1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 형태이고 특이한 모양의 열쇠는 M x M 크기인 정사각 격자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자물쇠에는 홈이 파여 있고 열쇠 또한 홈과 돌기 부분이 있습니다. 열쇠는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며 열쇠의 돌기 부분을 자물쇠의 홈 부분에 딱 맞게 채우면 자물쇠가 열리게 되는 구조입니다. 자물쇠 영역을 벗어난 부분에 있는 열쇠의 홈과 돌기는 자물쇠를 여는 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물쇠 영역 내에서는 열쇠의 돌기 부분과 자물쇠의 홈 부분이 정확히 일치해야 하며 열쇠의 돌기와 자물쇠의 돌기가 만나서는 안됩니다. 또한 자물쇠의 모든 홈을 채워 비어있는 곳이 없어야 자물쇠를 열 수 있습니다.

열쇠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key와 자물쇠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lock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열쇠로 자물쇠를 열수 있으면 true를, 열 수 없으면 false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key는 M x M(3 ≤ M ≤ 20, M은 자연수)크기 2차원 배열입니다.
  • lock은 N x N(3 ≤ N ≤ 20, N은 자연수)크기 2차원 배열입니다.
  • M은 항상 N 이하입니다.
  • key와 lock의 원소는 0 또는 1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0은 홈 부분, 1은 돌기 부분을 나타냅니다.

입출력 예

key lock result
[[0, 0, 0], [1, 0, 0], [0, 1, 1]] [[1, 1, 1], [1, 1, 0], [1, 0, 1]] true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key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오른쪽으로 한 칸, 아래로 한 칸 이동하면 lock의 홈 부분을 정확히 모두 채울 수 있습니다.

 

[풀이]

key가 lock의 빈 공간에만 채워질 수 있는 알고리즘이 생각나지 않아 key를 lock에 대입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하였고, lock보다 약 3배(lock.length*3 - 2) 큰 2차원 배열을 만들어 lock을 중앙에 위치시켰고 key를 위에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대입시키면서 lock의 모든 곳이 1이 되는지 체크해 답을 도출해내는 식으로 문제를 풀었다.

하늘색은 key, 주황색은 lock, 곂치면 값을 더해주고 lock 부분이 전체가 1이면 true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public boolean solution(int[][] key, int[][] lock) {
        int volume = lock.length * 3 - 2;
        int[][] testArr = new int[volume][volume];                        //lock배열보다  (lock*3 -2) 만큼 큰 2차원 배열을 만든다.    
        
        for(int i = 0; i < lock.length; i++) {                            
            for(int j = 0 ; j < lock.length; j++) {
                testArr[i+lock.length-1][j+lock.length-1= lock[i][j];
            }
        }
        
        for(int i = 0; i < 4; i++) {                                    //key가 3번 회전할 수 있으므로
            for(int j = 0; j < volume - key.length + 1; j++) {
                for(int q = 0; q < volume - key.length +1; q++) {        //testArr 필드에서 key를 대입해본다.
                    if(isCorrect(j, q, testArr.length, key, lock)) {
                        return true;
                    }
                }
            }
            key = turnArr(key);                                            //키회전
        }
        return false;
    }
    
    public int[][] turnArr(int[][] key) {                                //키를 90도 회전 시키는 메서드
        int[][] tempArr = new int[key.length][key.length];
        for(int i = 0; i < key.length; i++) {
            int targetI = key.length-1;
            for(int j = 0; j <key.length; j++) {
                tempArr[i][j]= key[targetI][i]; 
                targetI--;
            }
        }
        return tempArr;
        
    }
 
    public boolean isCorrect(int n, int m, int testArrLen, int[][] key, int[][] lock) {
        int y = n;
        int x = m;
        int[][] ax= new int[testArrLen][testArrLen];
        
        for(int i = 0; i < key.length; i++) {                //TestArr크기의 빈배열의 적절한 위치에 key 요소를 넣고
            for(int j = 0; j < key.length; j++) {
                ax[y][x+++= key[i][j];
            }
            y++; x=m;
        }
        
        for(int i = 0; i < lock.length; i++) {                //키 값이 들어간 이차원 배열의 중앙에 lock의 값을 넣어준다. 
            for(int j = 0 ; j < lock.length; j++) {
                ax[i+lock.length-1][j+lock.length-1+= lock[i][j];
                if(ax[i+lock.length-1][j+lock.length-1!= 1) {        //lock의 모든 요소가 1이 아니면 false
                    return false;
                }
            }
        }        
        return true;
    }
cs

느낀 점 : 항상 느끼는거지만 카카오 코딩 테스트는 다른 코딩 테스트보다 로직이 많이 나오고 단순하지가 않은 것 같다.. 난이도의 문제도 있지만 조건이 많은 느낌..?이다. 너무 어려웠지만 그래도 잘 풀어서 다행이다.

반응형